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76/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2020년 7월에 업데이트된 특수과제 및 보상 시스템.타 게임의 [[배틀 패스]]와 비슷하다. 특정 과제를 완수하면 S.C.O.R.E 경험치가 채워지며 스코어를 채우면 해당하는 보상을 얻을수 있다. 해당 시즌을 놓쳤을 경우 미네르바에게서 일정 로테이션마다 지난 시즌 보상을 구매할 수 있다. 각 전설적인 경주의 시즌은 평균적으로 2~3개월 정도로 주어지며 그 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대형 업데이트들을 따라가는 편이다. S.C.O.R.E 점수는 보통 6종 + 1종[* 1st 결제 플레이어에게 추가로 하나가 더 주어진다.]의 일일과제와 14종 가량의 주간과제를 통해 얻는다. 일일과제는 보통 개당 250점 정도의 점수를 얻으며 6종을 클리어하면 모두 클리어한 기념으로 1000점의 점수를 얻는다. [* 악명높은 베데스다의 스파게티 코딩으로 인해 가끔 1st 전용 일일과제 2개, 일반 일일과제 5개가 나와 무과금 플레이어는 이날은 일일과제 올클리어가 불가능하게 만드는 사고가 나기도 한다. ~~과금유도~~] 주간과제는 보통 개당 1000점의 점수를 얻으며 일일과제보다 더욱 노가다를 시킨다. 일일과제를 모두 클리어한게 3일이 쌓이면 주간과제를 하나 클리어 하며 1500점의 점수를 얻는다. 이 주가 갱신되는 기준 시각은 한국 기준 수요일 새벽 2시이다. 과제 내용으로는 주로 특정/특정군의 아이템을 N개 얻기, 제조하기, 분해하기, 소비하기 같은 아이템일반. 특정/N회의 이벤트 클리어, 특정/특정군의 적을 처치, 특정 무기로 처치, 특정적의 특정 부위를 불구로 만들기, 자물쇠나 해킹 N회하기 같은 플레이 일반. 셸터 방문, 캠프/작업장내 특정 아이템 N개 제조, 베스트 캠프 방문같은 베데스다 입장에서 제발좀 해보라고 넣어두었지만 비인기인 컨텐츠 짬처리식 과제. 팀 참가, 팀 참가상태에서 각종 상호작용하기, 타 사용자와 자판기로 무언가를 거래하기같은 상호작용계의 4개의 대괄호군으로 크게 묶을수 있다. 하기에 영 뭐같거나 귀찮은 과제가 걸리면 1개씩 리롤을 돌릴수 있으며 매일매일 한번의 공짜 리롤, 아톰을 들이는 프리미엄 리롤권이 주어진다. 리롤을 돌리면 적당한 확률로 에픽 과제라 하여 조금 더 귀찮지만 점수를 60%정도 더주는 과제로 바뀔수도 있다. 처참한 번역퀄리티는 여기에서도 드러나는데 개과 생물들(Canine)을 처치하라는 과제는 야생 개를 처리하라고만 나와 역시 개과인 여우나 늑대를 처치해도 오른다는것을 전해주지 못한다. 파이말고 구두장이를 드세요라는 과제도 나오는데 이는 크랜베리 파이를 먹으라는 뜻으로 크랜베리 파이라는 요리는 원래 크랜베리 코블러라는 이름이고 코블러는 구두장이이므로 말장난인데 과제는 직역해놓고 정작 코블러 아이템은 파이로 번역해놓으니 뉴비 한국인 플레이어는 알길이 없다. 그리고 특정 아이템을 섭취하는 과제들에도 드세요와 먹으세요라는 표현이 혼재되어 있다. S.C.O.R.E 등급이 100등급 이하일 경우 경험치 10000을 얻을때마다 100의 점수를 받을수 있으며 이때문에 웨텍런, 원정, 레이드등의 노가다를 통해 일단 100단계까지는 빡세게 달려서 찍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각 등급에 요구되는 점수는 초반에는 적지만 갈수록 증가하여 3500까지 늘어난다. S.C.O.R.E 등급이 100등급 이상일 경우 공용 이벤트 3회를 클리어할때마다 300의 점수를 받을수 있으며 20분마다 하는 공용 이벤트, 핵으로 열리는 레이드, 스카이라인 드라이브 이후 추가된 캐러밴등이 포함된다. 요구 점수는 모든 등급에서 350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1st 결제와 S.C.O.R.E 부스터라는 24시간짜리 소비아이템을 통해 얻는 S.C.O.R.E 경험치를 끌어올릴수 있다. 하지만 부스터는 일일과제들에만 적용되고 알짜배기인 주간과제에는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 애초에 아톰으로 얻는 유료 아이템이므로 진짜 빨리 밀고싶은게 아니라면 제법 사치다. 특정 기간에는 점수에 그냥 2배가 붙기도 하는데 한 시즌이 끝나가는 기간에는 라스트 스퍼트 개념으로 붙을 확률이 더 올라간다. 시즌 15까지는 주사위게임 보드 위를 일직선으로 달리는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특정 등급들에서 그 시즌에서만 먹을수 있는 특이한 아이템, 그 아이템의 개조 설계도, 동료 같은것을 획득 가능했다. 1st 가입 플레이어들에게는 특이 아이템들이 더 늘어나는 특전이 있다. 특히 100랭크가 되면 대량의 아톰을 획득 가능하여 1st 없는 플레이어들에게도 가뭄의 단비가 되어주었다. 베데스다가 새로운 과금 요소 설계자를 영입한 뒤 시즌 16부터 대격변이 일어났는데 일직선으로 달리는것이 아니라 몇단계에 도착하면 보상들이 세트로 모여있는 페이지들이 열리는식으로 바뀌었으며 이것을 해금하기 위한 티켓을 얻는 형식이 되었다. 당연히 이 보상에도 1st 전용 보상들이 있는데 1st 상태에서 이 티켓을 계획없이 사용하면 100등급을 찍고도 이 보상들을 전부 못얻는 불상사도 발생하게되어 논란이 되었다. 100등급에서 주는 500 아톰도 사라졌으며 대신 150등급을 찍으면 무한반복으로 티켓을 소비하여 소모 아이템들을 얻는 형식이 되어 총 무료 아톰 배포는 줄어들었다. 150등급 이하의 별볼일 없는 단순 장식 아이템들에 티켓을 안쓰고 150등급의 아톰에 티켓을 몰빵하는것을 막기 위해 150등급 이하의 아이템을 특정갯수 이상 획득해야 150등급 페이지가 열리는 방식이며 이 갯수는 1st없이 열수있는 아이템의 총 갯수와 일치한다. 도입된 시즌 직후인 시즌 17부터 스코어보드의 내용물이 점점 부실해지기 시작하더니 시즌 20에서는 '''한 페이지에 보상 3개'''라는 충격적인 부실함을 보여주면서 해당 시스템에 점점 불만을 가진 유저들이 늘기 시작했다. 심지어 몇몇 보상들은 시즌 19 때 추가된 칭호로 바뀌면서 캠프 보상이 확실히 부실해졌다는 평가이다. 특정 시즌에는 사기적인 성능을 자랑하는 무기의 제작법을 해금시켜주어 못먹으면 크게 후회하는 시즌들이 있었는데 이렇게 해금되는 무기들이 콜드 숄더, 소각기, 테슬라 캐논 같은 무기들이고 이렇게 놓친 아이템들은 후일 우표 상인이나 아톰샵에서나 해금되는 식으로 복각되었다. 가끔 아토믹샵에 특정 시즌 따라잡기라는 이름으로 과거 특정 시즌에서만 얻을수 있던 1st 전용 아이템들을 파는 번들로 복각되기도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